<만성피로, 증상 및 치료 방법>
어제는 하루종일 쉬었는데, 충분히 잔거 같은데, 막상 오늘이 되면 너무 피곤하시다구요?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일터에 나가는 직장인이나 피곤함을 느끼는건 똑같습니다. 하루 종일 피곤한 지금, 내몸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잠을 잘 못잤거나, 식사를하거나 긴장이 풀리면 일시적으로 잠이 올 수 있는데 잠이오는 것과 만성적으로 피로함을 느끼는것은 다릅니다. 전자가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만성피로는 1개월 이상 지속되면 질병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러한 만성피로의 증상 및 원인,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성피로의 원인?>
-생활 습관성 원인-
만성피로의 첫번째 원인은 잘못된 '습관'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우리는 하루종일 PC와 스마트폰과 씨름합니다. 잠자기 전까지 놓지 못하는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는 우리가 자야하는 밤시간임에도, 깨어있어야 하는 낮시간이라고 뇌를 착각하게 만들기 때문에 수면의 질을 낮추고 피로함을 느끼게 합니다. 또한 매일 습관적으로 마시는 커피에 함유되어있는 카페인 또한 우리의 몸을 각성하게 만들어 숙면을 방해하죠. 지나친 음주 와 흡연 등의 식습관도 고쳐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의 부족 또한 몸을 쉽게 피로하게 만듭니다.
-정신적, 정서적 원인-
우리가 생활하면서 받는 스트레스와 과로, 우울증이나 불안증 등도 만성피로에 일조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불안 등이 누적되면 심한 무기력감과 더불어 신체의 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매일 지속적인 피곤함을 느낀다면, 정신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는 없었는지, 우울감이나 불안 등의 증세는 없는지 생각해보세요.
-신체적 원인-
생활습관도 괜찮고 정서적으로도 안정이 되어있는것 같은데, 너무 피곤하고 무기력하다? 그렇다면 신체 기관 자체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흔히 혈색이 안좋거나 피곤을 호소하는 사람에게 간이 안좋은것 아니냐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내장기관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피곤함을 느끼는 것일 수 도 있으니, 특별히 습관이나 정신적으로 문제가 없음에도 피로함이 1개월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성피로의 예방과 치료>
일단은 위에서 살펴본 자신의 생활습관이나 정신적, 신체적 원인들 사이에서 피로감이 오는건 아닌지 판단해보고, 의심가는 항목이 있다면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간단한것 같으면서 잘 지키지 못하는 것들이 대부분인데요, 카페인, 담배, 음주를 끊거나 줄일 필요가 있고, 주에 3~4회 정도는 30분이상 적절한 운동을 통해 기초 체력과 심신을 단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적은 수면시간은 피로의 적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7시간 이상의 수면을 할 수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직장이나 사회에서 받은 스트레스는 혼자 끙끙 앓거나 가지고 있지 말고 의사와 상담하거나,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나만의 방출 방법을 찾는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영양이 고루 잡힌 균형있는 식사를 하는것은 기본이 되겠습니다.*피로회복제 등은 일시적인 각성효과만 줄 뿐 함유된 카페인 성분 등으로 몸의 전체적인 균형에는 안좋을 수 있으니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지키되, 심할땐 병원내원 고려>
사실 '피곤함'의 증상만 가지고 병원을 찾으려고 하시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잘 못쉬어서 그런거겠지.", "쉬면 괜찮겠지."하는 생각에 몸이 보내오는 신호를 무시하고 지내다보면 더 큰 병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일단은 자신의 생활습관이나 원인이 무엇인지 잘 판단해보고 아무래도 증상이 심하다 싶으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피로감이 날이 갈수록 나아지지 않고 심해진다던가, 평소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이면서 그 기간이 1개월 이상 지속될때는 꼭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만성피로의 증상과 치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올바른 습관과 운동을 생활화하는것이 만성피로를 예방하는것과 동시에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