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제습 vs 냉방 전기료 많이 차이 날까?
숨쉬기도 힘든 여름, 장마철엔 습한 날씨로 힘들게 하더니 비가 그치고 난 뒤에는 이제 폭염이 우리를 괴롭힙니다.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전기료도 오른다고 하는데, 집에 에어컨 틀기도 참 걱정이 많죠. 그렇다고 선풍기로만 살기에는 여름이 너무 덥습니다.
그래도 이왕 에어컨을 가동하는데 있어서 시원하게 여름을 보내면서도 다른집 보다 전기료를 절감할 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이 생깁니다. 어떤집은 하루종일 틀어도 얼마 안나온다는데, 또 어떤집은 전기료 폭탄 이야기가 나옵니다.
에어컨에는 기본적으로 냉방 기능 뿐만 아니라 제습 모드, 송풍 등등 여러가지 기능이 제공되는데요, 이 다양한 모드 중 어떤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여름을 시원하게, 전기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에어컨 제습 모드로 전기료 줄일 수 있을까요?
"제습"은 말그대로 습기가 많은 공간을 쾌적하게 만들어주기 위한 기능인데요, 일단 이 기능을 사용하게되면 냉방과 똑같이 시원한 바람도 나오고, 온도 설정도 할 수 있게끔 되어있어서 거실이나 방안이 시원해짐과 동시에 습기도 없어집니다. 하지만 "제습" 기능이라고 생각하여 일반적인 냉방 사용보다 전기료가 적게 나갈 것이다라는 생각이 들게되어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데요,
하지만 이 제습모드도 에어컨의 "냉방"기능과 똑같은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가동시 시원한 바람이 나오게 하기위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외기"가 돌아가게 됩니다. 에어컨 사용시 전기료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바로 이 실외기의 가동 여부에 있는데, 냉방과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사실 제습모드로 돌린다고 해서 전기료는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궁극적인 전기료를 절감하기 위해선, 어떤 모드로 동작시키느냐가 문제라기 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운영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똑같은 시간 가동하더라도 어떻게 에어컨을 운영하느냐에 따라 요금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1. 에어컨은 인버터형으로!
에어콘은 크게 정속형과 인버터형으로 나뉩니다. 인버터형의 경우 목표한 온도에 도달하면 절전형 방식으로 작동하던 실외기를 멈추고 절전모드로 진입합니다. 하지만 정속형은 실외기가 계속해서 돌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당연히 전기요금이 더 많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원리입니다. 일단 전기료를 절감하고 싶다면 현재 가정에서 사용중인 제품이 인버터 방식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효율적인 사용 방식으로 운영하기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에어컨 가동시 전기세의 주범은 실외기 가동입니다. 우리가 에어콘을 틀고 온도를 맞춰 놓으면 그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실외기가 돌아가면서 바람이 나오기 때문에, 일단은 전원을 켜고 난 뒤에는 우리가 설정한 온도에 최대한 빠르게 도달 하게끔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현재 실내 온도가 29도 인데, 설정온도가 24도 라면, 초기에는 최대한 강력한 모드 (요즘엔 쿨파워 기능이 장착되어 있는 제품이 많습니다)으로 24도까지 도달하게 하면 실외기 동작이 멈추게 되고, 적정 온도를 유지만 하는 모드로 진입하게 됩니다.
오히려 약한 바람으로 설정해놓고 틀게되면 설정해놓은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해서 실외기가 돌아가기 때문에 전기료가 더 나올 수 있다는 점! 또한 절감을 위해 에어컨을 자주 켰다 껐다 하는 습관도 오히려 안좋을 수 있습니다. 전원을 끄면 다시 실내 온도가 올라가고 이를 낮추기 위해 다시 실외기가 강력하게 돌아가기 때문이죠.
3. 주변 환경 요소를 개선하자!
집안에는 외부의 열이 들어오는 요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분이 바로 창문인데요, 창문을 닫아놓더라도 투명한 유리로 뜨거운 햇볕이 들어오기 때문에 외부의 열이 그대로 집안으로 전달됩니다. 때문에 에어컨 가동시에는 암막커튼이나, (일반커튼도 괜찮습니다) 비닐 등을 붙여서 외부의 열이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끔 해주시면 에너지 효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필터 청소 및 관리
사실 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컨은 1년에 가장더운 2~3달 정도만 가동하는 집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관리에 소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각종 먼지나 이물질들이 에어컨 필터로 들어가게 되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이러한 물질들이 통풍을 막고 제품의 성능 및 효율을 떨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전기료도 올라가구요. 때문에 이 부분도 꼭 관리해주어야 한다는 점!
5. 선풍기와 함께 사용
앞부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기료 절감을 위해선 최대한 에어컨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게끔 환경을 만들어주고 운영하는 것인데요, 이때에 선풍기를 회전모드로 하여 함께 동작해 주시면 집안 구석구석 시원한 바람이 전달되기 때문에 온도를 빨리 낮추는데 도움을 줍니다.
댓글